[인터뷰] 아쿠아프로젝트 엄호동 추진단
본격적인 출항에 나선 아쿠아프로젝트의 1등 항해사 역할을 맡은 엄호동(사진) 아쿠아프로젝트 추진단장(미디어칸 미디어기획팀장)은 16일 이번 아카이브 구축 시동에 대해 “생산자들(언론사들)의 대오각성”이라고 표현했다.
“생산자가 배제된” “부가가치 창출이 되지 않는” 포털 중심의 뉴스 유통 구조에 단순 콘텐츠공급자(CP)로 전락한 언론사들의 고해성사에 가까운 토로다. “생산자가 배제된 기존의 시장을 포털에만 탓할 일이 아니”라는 엄 단장은 시행착오를 겪은 만큼 이를 계기로 언론사들이 뉴스 공급시스템의 새로운 변화주체가 되는 토대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엄 단장은 1차 목표를 ‘정보 가치의 창출’에 뒀다. “(뉴스콘텐츠의) 상품화가 돼 있지 않다보니 아무리 잘 만들어도 원가 회수가 안 되는 구조적 모순이 있었다. 뉴스 자체 유료화는 저항이 있겠지만 우선 포장의 변화를 통해 정보 이용료를 제공할만한 가치가 있는 패키징을 만들겠다.” 엄 단장은 안정적인 공급시스템이 확보되면 내용물의 질적 향상을 통해 ‘콘텐츠 비즈니스를 완성하는 단계로의 진입을 꾀할 계획이다
현재 온라인 뉴스시장에 대해 그는 “오프라인은 ‘구독료’라는 형태가 있으나 온라인은 지국(포털)에만 돈을 받았을 뿐, 독자(뉴스이용자)한테는 지국이 알아서 하라는 것이 문제”라며 아쿠아 프로젝트는 “포털이 생산자 일부로 참여, 콘텐츠를 공동 생산해 분배하는 방식으로의 전환이 이뤄지는 단계”라고 전했다
그는 특히 “회원사들의 본사 혹은 오프라인에서도 위기의식을 가져야 한다”며 “저작권에 대한 권리는 물론 ‘온라인으로 종이신문의 위기를 탈출해야 한다’는 인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출처(미디어오늘) :
http://www.mediatoday.co.kr/news/read.php?idxno=36960&rsec=S1N3